■ 진행 : 김정아 앵커, 박광렬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신규 확진자가 1,300명대를 기록했습니다. 62일째 네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는데요. 정부는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을 검토하면서도 위드 코로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선 경계감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 안녕하십니까? 1375명, 확진자입니다. <br /> <br />이게 8월 5주차 월요일에서는 1486명, 그 전주는 1417명. 주말 효과를 고려해서 보더라도 조금 감소하는 것 아닌가, 이런 기대도 해 보게 되는데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 <br />[정재훈] <br />저는 아직까지 감소세라고 보기에는 이르다고 생각합니다. 지금의 유행 상황을 평가해 보면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피로감과 델타 변이의 확산, 그리고 백신접종률과의 싸움이라고 볼 수 있거든요. <br /> <br />지금의 상황을 본다라면 백신접종률이 매우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확진자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갈 수가 있습니다마는 한 가지 변수가 생겼습니다. 우리가 추석 특별방역대책이 발표가 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나 방역 완화 신호들이 나갔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우리가 실질적인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조치보다는 이런 신호에 국민들께서 조금 더 민감하게 반응하시는 경향들이 있고요. 그렇기 때문에 다음 주나 다다음 주 정도에는 확진자가 소폭 증가하는 현상으로 이것이 나타날 수도 있다,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 부분을 조심해서 방역수칙 잘 지켜야 되겠다 이런 생각 드는데요. 아직 안심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지만 어쨌든 지표를 보면 감염재생산지수 같은 경우도 2주 연속으로 1 이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하나 우려되는 게 감염경로, 어떻게 전파가 됐는지를 보면 경로 알 수 없음, 이런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를 하고 있거든요. 어떻게 봐야 될까요? <br /> <br />[정재훈] <br />먼저 감염재생산지수라고 하는 것은 1 이상이냐, 이하이냐는 것은 유행 곡선의 방향을 결정하지만 1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냐가 급격하게 감소하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. 지금은 1보다 낮기는 하지만 거의 0.99, 0.98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사실상은 정체 상태라고 판단하는 게 옳을 것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재훈 (yimjy112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90614354477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